문제
방향 없는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, 연결 요소 (Connected Component)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 0 ≤ M ≤ N×(N-1)/2)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간선의 양 끝점 u와 v가 주어진다. (1 ≤ u, v ≤ N, u ≠ v) 같은 간선은 한 번만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연결 요소의 개수를 출력한다.
풀이법
다음 입력 예제를 보고 먼저 손으로 그려봅시다.
6 | 5 |
1 | 2 |
2 | 5 |
5 | 1 |
3 | 4 |
4 | 6 |
정점의 개수 N = 6, 간선의 개수 M = 5이기 때문에 첫 번째 입력을 받고 5번을 더 입력 받아야 하는군요.
두 번째 입력부터 무방향 그래프의 정점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각 그래프를 인접리스트에 담아 순회하면서 시작점부터 연결된 정점을 방문하고, 더 이상 방문할 정점이 없으면 다음 그래프로 넘어가 연결된 정점을 방문하면 되겠습니다. 각 그래프에서 시작할 때 횟수를 카운트하면 연결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겠군요. 그러면 코드로 구현해 보겠습니다.
#include <bits/stdc++.h>
using namespace std;
const int max_n = 1001;
vector<int> adj[max_n];
int visited[max_b];
int vertex, edge, u, v, cnt = 0;
void dfs(int current) { // (1)
visited[current] = 1;
for(int there : adj[current]) {
if(visited[there] == 0) dfs(there);
}
}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cout.tie(NULL);
cin >> vertex >> edge;
for(int i = 0 ; i < edge ; i++) {
cin >> u >> v;
adj[u].push_back(v); // (2)
adj[v].push_back(u);
}
for(int i = 1 ; i <= vertex ; i++) {
if(visited[i] == 0) { // (3)
dfs(i);
cnt++;
}
}
cout << cnt << "\n";
return 0;
}
(1) dfs() 함수는 현재 시작점에서 연결되어 있는 정점을 모두 탐색합니다. 방문배열에 없는 정점일 때 재귀호출을 합니다.
(2) 문제에서 무방향 그래프라고 명시했기 때문에 양방향으로 인접리스트에 담습니다.
(3) 정점의 개수만큼 순회하면서 방문한 적이 없는 정점을 방문합니다. 연결된 정점은 재귀호출을 하면서 방문을 할테니 이 조건에서의 횟수를 카운트하면 연결된 요소의 개수가 됩니다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/C++] 2178. 미로 탐색 (1) | 2023.12.27 |
---|---|
백준 - 2979.트럭주차 (3) | 2023.12.24 |
백준 - 10988. 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 (3) | 2023.12.20 |
백준 - 2309. 일곱난쟁이 (1) | 2023.12.18 |
백준 - 10808. 알파벳 개수 (16) | 2023.12.18 |